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고민이라면!(2023)

2년간 종자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을 알고 예신가요?

Thank you for reading this post, don't forget to subscribe!

청년희망적금은 무엇이며, 이번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란?

해당 상품은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즉, 비교적 괜찮은 금리에 정부지원금을 얹어주는 일종의 종자돈 모으기 상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청년층 저축 장려와 장기적·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위해 저축장려금 지원 상품인 것입니다.

사회초년생 또는 저소득 청년의 저축 장려 및 장기적∙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통해 취약한 경제기반을 보완하고 청년의 경제적 자립 역량 제고하기 위해 19~34세 청년들이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자가 일정금액을 저축한 후 적금 만기 시 은행 이자에 더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저축장려금을 추가 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쉽게 말해, “한달에 50만원씩 2년간 모아서 1천3백만원 만들기“ 프로젝트인 것입니다.

즉, 만기 2년동안 매월 50만원 한도(연간 60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연5~6% 기본 금리에 정부가 저축장려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차이점은?

청년희망적금이,

한달에 50만원씩 2년간 모아서 13백만원 만들기“ 이라면,

청년도약계좌는,

한달에 70만원씩 5년간 모아서 5천만원 만들기“ 입니다.

단순히 금리만 보면 희망적금이 9%상당, 도약계좌는 6%상당으로 희망적금이 더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납입기간과 납입한도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입하는 사람의 상황에 맞는 선택에 따라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납입가능금액도 도약계좌가 더 많고, 납입기간도 5년으로 더 길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희망적금은 보다 단기간에 목돈을 만드는 성격이라면, 도약계좌는 장기적으로 보고 전세금 마련이나 결혼자금 마련과 같은 목적의 성격이 더 강합니다.

중요한 것은 중복해서 가입이 불가하고 희망적금을 가입하고 있다면 해지 후 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존 희망적금을 이용 중이시라면 혜택면에서 굳이 해제할 필요성은 낮아 보입니다.

서민금융진흥원(청년도약계좌) 상품설명 보러가기>

가입 조건은?

첫째, 19~34세 청년이어야 합니다. 병역 이행을 한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 시 제외되고 그만큼 기간이 늘어납니다. 이때 병적증명서로 병역 이행이 증명되면 됩니다.

둘째, 총급여가 3,600만원이하여야 합니다.(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본인의 소득여부는 국세청 또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조회가 되어야 합니다.

가입 조건은 청년도약계좌와 동일하며, 다만, 도약계좌는 가구소득 조건도 추가로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 까다로운 측면이 있습니다.

혜택은?

가장 중요한 건 혜택일겁니다.

혜택의 골자는 납입금에 대한 우대이자 + 저축장려금+ 이자소득 비과세 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금리 혜택, 최대 9.3% 상당

기본 금리의 경우, 5%로 고정이며, 은행마다 우대 금리 조건이 있습니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최대 1%까지 우대 금리가 설정되어 있고, 기업은행은 0.9%, 하나은행, 우리은행은 0.7%, 농협은 0.5%가 설정되어 있다. 지방은행들도 0.2%~0.5%로 우대금리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들어 국민은행은 급여이체 우대이율 0.5%, 자동이체 우대이율 0.3%, 첫거래 우대이율 0.5%를 지원하며 최대 1.0%를 우대이율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기본 금리 5%에 우대이율 1%가 더해져 최대 6%의 이율을 제공합니다.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 2년차 납입액의 4%로 계산되며, 최대 월 납입금이 50만원으로 계산하면 1년차에 12만원, 2년차에 24만원이 쌓여서 총 36만원이 되게 됩니다.

여기에 비과세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반 적금에 비해서는 유리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총 납입액연금리납입금액 이자저축장려금총 수령액혜택 금액일반 적금 비교
1년차2년차
600만원600만원6.0%75만원36만원1,311만원111만원10.49%
5.5%68만원1,304만원104만원9.90%
5.0%62만원1,298만원98만원9.31%
600만원6.0%55만원12만원667만원67만원
5.5%50만원662만원62만원
5.0%46만원658만원58만원
600만원6.0%19만원24만원643만원43만원7.91%
5.5%17만원641만원41만원7.61%
5.0%16만원640만원40만원7.32%
(출처 : 나무위키)

신청 방법

가입은 온라인, 오프라인 방식 모두 가능하며, 대다수 은행이 비대면 온라인 가입 시 금리를 우대해줍니다.

• 전국 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기업은행

• 지역 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이상으로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종자돈 마련에 큰 도움되시길 바라며, 청년 대출이나 적금 관련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전용창업자금
햇살론유스 대학생 대출